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대상포진 원인, 초기증상, 전염성은?

by 가니 아빠 2022. 10. 13.

 

환절기가 되면 아프다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중에는 감기에 걸린 사람들도 있지만 대상포진과 같이 통증이 심한 질환이 온 분들도 있는데요. 바늘로 찌르고 칼로 벤 듯이 아프다는 그것, 어떤 것이 원인인지 전염성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인

어릴 적 수두에 걸렸거나 그에 관련한 예방 주사를 맞으면 그 바이러스가 사라지지 않고 우리 몸의 신경절에 잠복하게 됩니다. 이후 어떤 이유로 우리 몸에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이것이 피부로 올라오면서 염증과 수포성 발진을 나타내게 되는데요. 이를 대상포진이라고 합니다. 보통 통증이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이러스 성 질환이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원인이 됩니다. 주로 50-60대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요즘에는 스트레스로 인해 20-30대에서의 발생률이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면역력이 떨어지는 환경

과로한 경우, 환절기, 명절 또는 장례와 같은 큰일이 있은 후,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 등

 

전염성

"바이러스성이면 전염되는 거 아니야?"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결론만 이야기하면 대상포진은 전염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병은 앞에서 언급했던 대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원인인데요. 급성기에 영유아와 접촉을 하면 수두로 전염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발현된 경우 영유아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과는 접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초기 증상

대상포진의 치료는 최대한 빨리 이루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발병 72시간을 넘어가게 되면 신경절을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72시간 내의 병원의 오진율이 높아서 골든 타임을 놓치고 후유증을 앓게 된다고 하는데요. 다음의 증상들을 꼭 기억하셔서 제때 치료받으시기 바랍니다. 

  1. 두통
  2. 감기 몸살과 같은 전신 근육통
  3. 띠모양의 피부 발진 및 수포 감각이상(따끔거리는 통증)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면 바로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는 곳이 좋습니다. 이를 방치하면 신경에 영향을 미쳐 침범 부위에 따라 뇌졸중과 치매, 각 기관의 기능을 잃는 등의 후유증이 남는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하니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면 보통 피부발진은 3주, 통증은 3개월의 기간 내에 회복되는데요. 대상포진 환자의 10~40% 정도는 포진후 동통이라는 장기간의 통증이 이어지는 후유증에 시달립니다. 이 경우 일상생활이 힘들고 신경절단까지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니 가볍게 생각할 질환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런 증상이 나타났다면? 대상 포진을 진료하는 감염내과, 피부과, 신경과, 마취통증의학과로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예방방법

면역력을 높이고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1.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적당한 운동을 하며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기저질환이 있거나 질환에 노출되는 것이 염려되는 분들은 백신을 맞는 것도 방법인데요. 백신을 맞은 분들 중 40%에게서 발병했다는 통계도 있기 때문에 맹신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오늘은 대상포진의 원인, 초기 증상, 전염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상 포진 예방접종의 종류 및 가격, 부작용 까지 총정리

어릴 적 걸렸던 수두균이 면역력이 떨어지면 염증을 동반한 포진을 일으키며 나타나는 대상포진은 상당히 괴로운 질병입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에 대한 예방접종이 있다는 것인데요. 오늘

www.month-1000.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