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도멕스만 처방받아오던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딸이 어느 날 다른 연고를 처방받아 왔습니다. 이름은 아드반탄이라고 하고 튜브에 흰색 내용물이 들었습니다. 그전에 바르던 약보다 더 강한 약이라고 해서 걱정이 많았는데요. 사용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드반탄의 단계 및 적응증
7단계로 나누어지는 스테로이드성 도포제 중 아드반탄은 4단계로 5단계의 리도멕스보다 한 단계 위의 연고입니다. 습진이 있는 피부에 효과가 있습니다. 아토피 피부염이나 심상성 습진(아토피나 지루성피부염이 아닌 일반 습진)에 사용합니다. 습진이라 함은 피부에 염증이 생겨서 가려움을 동반한 붉은 여드름이나 물집 같은 증상이 있고 진물이 나다가 피부가 두꺼워지고 갈라지고 건조해지게 됩니다. 이에 대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은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을 때 조기에 이런 연고를 도포해주면 빠른 호전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5단계로 천천히 치료하는 것보다 4단계로 빠르게 조치하는 것이 훨씬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관련된 사항은 의사 선생님과 상담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용방법
1일 1회 적당량을 환부에 얇게 바릅니다. 이 적당량이라는 것이 어느 정도일까요? 손가락 끝 한마디 정도 연고를 짠 양을 1 FTU(Finger Tip Unit, 약 5g)라고 하는데요. 이 정도 양으로로 손바닥 하나 정도의 면적에 바르는 정도가 적당합니다. 성인의 경우 12주, 소아의 경우 4주 이상 계속해서 사용하지 않는다고 되어있는데 심할 때만 바르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매일 바르는 경우는 드물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간이 경과하면 약의 효과가 없다고 판단되고 다시 진료를 받아 치료 계획을 짜야합니다.
아드반탄은 얼굴에 바를 수 있는 마지막 단계의 연고입니다. 하지만 이 또한 눈과 그 주위나 코와 입술 같은 점막에 바르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부작용
- 피부에 세균성(전염성 농가진, 모낭염 등) 및 진균성(칸디다증, 백선 등) 감염증과 가려움증, 발열, 발진, 피부가 건조해짐, 욕창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스테로이드성 여드름, 모세혈관 확장, 피부위축 및 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내분비계 많은 양을 사용하거나 장기간 사용하면 코르티코이드(호르몬의 일종)가 과다 투여된 것과 같은 증상이 있어 쿠싱증후군(얼굴이 부어 달과 같이 되는 증상)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 눈 위의 피부에 바를 시 안압이 상승하고 녹내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깊거나 큰 상처가 있는 부위에 사용해야 한다면 다 아문 후에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점막에 닿지 않도록 합니다.
- 약을 도포하고 붕대나 다른 것을 이용해서 밀봉하면 감염 증상이 나타나기 쉬우니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임신 후 처음 3개월 동안에는 바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꼭 필요하다면 의사 선생님과 상의 후에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모유수유 시 가슴 부위에 바르지 않습니다.
- 의사의 처방 없이 3세 이하의 유아에게 사용하지 않습니다. 상담 후에 사용하게 되면 기저귀로 인해 모르는 사이에 밀봉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합니다.
- 치료의 목적 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화장이나 면도 후 피부를 진정시키기 위해 바르지 않습니다.)
오늘은 중간 단계의 스테로이드 도포제인 아드반탄의 사용방법, 부작용,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맥과 정맥의 차이, 그리고 모세혈관 (0) | 2022.10.29 |
---|---|
대상포진 원인, 초기증상, 전염성은? (0) | 2022.10.13 |
장 내시경 전 먹으면 안되는 음식 등 주의사항 (0) | 2022.10.08 |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의 차이, 상황에 맞게 고르는 법 (0) | 2022.10.04 |
임플란트 2차 수술 후기와 주의할 점 (0) | 202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