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리를 특별히 하는 분들이 아니라면 30대가 넘어가면서 여기저기 몸의 이상신호가 옵니다. 저 또한 그랬습니다.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가장 흔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고혈압인데요. 오늘은 이것의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의 일상에서 수치를 낮추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혈압 정상수치 범위
혈압을 재면 두 가지 수치가 보입니다. 하나는 수축기이고요. 다른 하나는 이완기인데요.
- 수축기는 심장이 대동맥으로 혈액을 밀어낼 때 혈관이 받는 압력을 의미합니다.
- 이완기는 수축기 이후에 좌심실의 판막이 닫히고 대동맥 쪽에 남아있는 혈액이 돌아오면서 판막에 가하는 압력을 이야기합니다.
이 둘의 정상 범위는 이완기 80mmHg 미만, 수축기 120mmHg 미만이며 90~140mmHg 이상이라면 고혈압으로 봅니다. 이완기가 80mmHg 이상 수축기 130~140mmHg 사이라면 고혈압 전단계로 보고요.
증상
고혈압은 소리 없는 살인자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증상 없이 갑자기 훅 온다는 소리인데요. 이 말대로 고혈압의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 증상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래서 직접 재보지 않는다면 알기가 어렵죠. 하지만 이 상태로 계속 지내게 된다면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못 막게 되는 것이죠. 간혹 다음과 같은 증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두통이 있고 머리가 무겁다.
- 숨이 차고 두근거리거나 귀가 울린다.
- 손발이 저리거나 붓는다.
- 눈이 충혈되거나 얼굴이 빨개지고 코피가 잘 날 수 있습니다.
- 어깨 혹은 뒷목에 뻐근한 통증이 있을 수 있다.
합병증
진짜 무서운 것은 합병증인데요. 인체의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 고혈압성 망막증(눈)
- 뇌출혈, 뇌경색, 치매 등의 뇌혈관 질환(뇌)
- 고혈압성 신부전증(신장)
- 협심증,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심장)
- 성기능 장애, 골다공증
혈압이 높아지는 이유
피를 담고 흐르게 하는 곳을 혈관이라고 합니다. 혈압이 높아지는 것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 피의 양이 많아졌을 경우
호스에 물을 꾸준히 흘려보내고 있는데 갑자기 더 많은 양을 넣으면 압력이 올라가겠죠. - 혈관에 노폐물이 쌓이는 경우
관이 좁아지기 때문에 압력이 올라갑니다. 호스 끝을 조금만 남겨놓고 잡으면 물이 세게 나오잖아요. - 유전적인 원인이 있습니다.
그것이 하나가 아니고 여러 가지이고요. 평소에 어떻게 생활하는지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혈압 낮추는 방법
- 식습관 개선을 개선시킵니다.
- 싱겁게 먹기
- 나트륨이 많아지면 삼투압이 높아져 주변조직에서 혈관으로 물이 이동합니다. 그렇게 되면 혈압이 높아지죠.
- 식당에서 파는 음식들은 맛을 위해 짜게 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외식을 한다면 좋지 않습니다.
- 탄수화물을 적게 섭취하고 단백질을 많이 먹기
- 야채나 채소를 많이 먹습니다.
- 여기에는 칼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나트륨 배출을 용이하게 합니다.
- 야채와 채소는 여러 색을 지니고 있는데요. 색깔에 따라 영양소가 다르게 있기 때문에 골고루 먹는 것이 좋습니다.
- 싱겁게 먹기
- 규칙적인 운동을 합니다.
- 눈이 쌓인 길을 새벽에 걸어가면 앞으로 나가는 것이 힘듭니다. 하지만 저녁에 많은 사람들이 지나간 후에는 그렇지 않죠. 마찬가지로 평상시 하는 운동이 혈관 내에서 피가 흐르게 쉽게 만들어 줍니다.
-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 운동을 해보세요. 땀이 나고 숨이 찰 정도로 유산소 운동을 하면 됩니다. 근력 운동도 같이 하면 좋습니다.
- 체중감량을 합니다.
- 5kg의 체중감량이 이루어지면 수축기 혈압이 4~5mmHg 감소한다고 합니다.
혈압 재는 법
일단 측정 전에 빨리 걷거나 오르막길이나 계단을 올랐다면 충분히 쉬고 난 후에 재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을 재려면 혈압계가 있어야 하는데요 요즘에는 집 주변의 의원만 가도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계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 외투를 벗고 팔꿈치를 꺾인 부분까지 넣고 심장을 팔의 높이와 맞춥니다.
- 그리고 측정 버튼을 누르는데요. 그동안에는 말을 하거나 움직이지 않아야 하죠.
수동으로 재는 방법도 있습니다.
- 팔꿈치 바로 위쪽에 튜브를 붙이고 팔꿈치 접히는 부분에 청진기를 대고 맥박 소리가 들리지 않을 때까지 압을 올립니다.
- 그 후에 조금씩 바람을 빼는데요.
- 소리가 갑자기 들릴 때의 수치가 수축기 혈압이고 그 이후 소리가 사라질 때가 이완기 혈압입니다.
오늘은 혈압의 정상 범위와 고혈압의 증상과 혈압을 낮추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단 오르기 운동으로 다이어트를? 효과, 부작용 및 주의할 점 (0) | 2023.04.24 |
---|---|
족저근막염 원인과 증상, 자가치료 방법 알아보자 (0) | 2023.04.19 |
테니스 엘보우(외측상과염) 원인, 증상, 자가진단, 치료에 대해서 (0) | 2023.02.15 |
공복 혈당 낮추는 방법 및 음식, 또 나만 몰랐어? (0) | 2023.02.08 |
탈모, 간단한 자가진단과 예방하는 5가지 방법 (0) | 2022.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