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혈압 정상 범위와 고혈압 증상, 낮추는 방법

by 가니 아빠 2023. 3. 19.

건강 관리를 특별히 하는 분들이 아니라면 30대가 넘어가면서 여기저기 몸의 이상신호가 옵니다. 저 또한 그랬습니다.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가장 흔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고혈압인데요. 오늘은 이것의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의 일상에서 수치를 낮추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혈압 정상수치 범위

혈압을 재면 두 가지 수치가 보입니다. 하나는 수축기이고요. 다른 하나는 이완기인데요. 

  • 수축기는 심장이 대동맥으로 혈액을 밀어낼 때 혈관이 받는 압력을 의미합니다.
  • 이완기는 수축기 이후에 좌심실의 판막이 닫히고 대동맥 쪽에 남아있는 혈액이 돌아오면서 판막에 가하는 압력을 이야기합니다. 

이 둘의 정상 범위는 이완기 80mmHg 미만, 수축기 120mmHg 미만이며 90~140mmHg 이상이라면 고혈압으로 봅니다. 이완기가 80mmHg 이상 수축기 130~140mmHg 사이라면 고혈압 전단계로 보고요.

 

 

증상

고혈압은 소리 없는 살인자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증상 없이 갑자기 훅 온다는 소리인데요. 이 말대로 고혈압의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 증상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래서 직접 재보지 않는다면 알기가 어렵죠. 하지만 이 상태로 계속 지내게 된다면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못 막게 되는 것이죠. 간혹 다음과 같은 증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두통이 있고 머리가 무겁다.
  • 숨이 차고 두근거리거나 귀가 울린다.
  • 손발이 저리거나 붓는다.
  • 눈이 충혈되거나 얼굴이 빨개지고 코피가 잘 날 수 있습니다.
  • 어깨 혹은 뒷목에 뻐근한 통증이 있을 수 있다. 

 

합병증

진짜 무서운 것은 합병증인데요. 인체의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 고혈압성 망막증(눈)
  • 뇌출혈, 뇌경색, 치매 등의 뇌혈관 질환(뇌)
  • 고혈압성 신부전증(신장)
  • 협심증,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심장)
  • 성기능 장애, 골다공증

 

혈압이 높아지는 이유

피를 담고 흐르게 하는 곳을 혈관이라고 합니다. 혈압이 높아지는 것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1. 피의 양이 많아졌을 경우
    호스에 물을 꾸준히 흘려보내고 있는데 갑자기 더 많은 양을 넣으면 압력이 올라가겠죠.
  2. 혈관에 노폐물이 쌓이는 경우
    관이 좁아지기 때문에 압력이 올라갑니다. 호스 끝을 조금만 남겨놓고 잡으면 물이 세게 나오잖아요.
  3. 유전적인 원인이 있습니다.
    그것이 하나가 아니고 여러 가지이고요. 평소에 어떻게 생활하는지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혈압 낮추는 방법

  1. 식습관 개선을 개선시킵니다.
    1. 싱겁게 먹기
      • 나트륨이 많아지면 삼투압이 높아져 주변조직에서 혈관으로 물이 이동합니다. 그렇게 되면 혈압이 높아지죠.
      • 식당에서 파는 음식들은 맛을 위해 짜게 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외식을 한다면 좋지 않습니다. 
    2. 탄수화물을 적게 섭취하고 단백질을 많이 먹기
    3. 야채나 채소를 많이 먹습니다.
      • 여기에는 칼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나트륨 배출을 용이하게 합니다.
      • 야채와 채소는 여러 색을 지니고 있는데요. 색깔에 따라 영양소가 다르게 있기 때문에 골고루 먹는 것이 좋습니다.
  2. 규칙적인 운동을 합니다.
    • 눈이 쌓인 길을 새벽에 걸어가면 앞으로 나가는 것이 힘듭니다. 하지만 저녁에 많은 사람들이 지나간 후에는 그렇지 않죠. 마찬가지로 평상시 하는 운동이 혈관 내에서 피가 흐르게 쉽게 만들어 줍니다.
    •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 운동을 해보세요. 땀이 나고 숨이 찰 정도로 유산소 운동을 하면 됩니다. 근력 운동도 같이 하면 좋습니다. 
  3. 체중감량을 합니다. 
    • 5kg의 체중감량이 이루어지면 수축기 혈압이 4~5mmHg 감소한다고 합니다. 

 

 

 

혈압 재는 법

일단 측정 전에 빨리 걷거나 오르막길이나 계단을 올랐다면 충분히 쉬고 난 후에 재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을 재려면 혈압계가 있어야 하는데요 요즘에는 집 주변의 의원만 가도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계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1. 외투를 벗고 팔꿈치를 꺾인 부분까지 넣고 심장을 팔의 높이와 맞춥니다.
  2. 그리고 측정 버튼을 누르는데요. 그동안에는 말을 하거나 움직이지 않아야 하죠.

수동으로 재는 방법도 있습니다.

  1. 팔꿈치 바로 위쪽에 튜브를 붙이고 팔꿈치 접히는 부분에 청진기를 대고 맥박 소리가 들리지 않을 때까지 압을 올립니다.
  2. 그 후에 조금씩 바람을 빼는데요.
  3. 소리가 갑자기 들릴 때의 수치가 수축기 혈압이고 그 이후 소리가 사라질 때가 이완기 혈압입니다. 

 

 

 

오늘은 혈압의 정상 범위와 고혈압의 증상과 혈압을 낮추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