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크루즈 컨트롤의 종류와 사용법 및 장단점, 연비는?

by 가니 아빠 2023. 1. 9.

크루즈 컨트롤이란 자동차가 주행 중에 현재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합니다. 제가 10년 전쯤에 샀었던 쉐보레 크루즈 차량에 이 기능이 들어있었는데요. 시간이 지난 지금 이 기술은 현재 크게 발전했죠. 이것의 종류와 사용법,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종류와 차이점

위에서 언급했듯이 크루즈 컨트롤(cruse control)은 현재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장치입니다. 이는 미국처럼 한번 주행할 때 거리가 멀고 앞차를 만나기 힘든 상황에서 유리한 기술이었는데요. 복잡한 도심이나 우리나라처럼 교통량이 엄청나게 많은 곳에서는 그 역할이 떨어졌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렇게 속도만 유지시켜주었던 이 장치가 센서와 레이다의 발전과 함께 앞차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 Adaptive Cruse control)로 발전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더 발전하여 내비게이션 스마트 컨트롤(NSCC, Navigation-based Smart Cruse control)이 되었죠. ACC에서 더 추가된 기능은 3가지입니다.

  1. 도로속도제한에 맞춰 조절해 줍니다.
    서해안 고속도로의 제한 속도는 110km/h입니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로 110km/h에 맞춰놓고 달리다가 80km/h가 제한속도인 출구로 나오면 스스로 속도를 맞춰줍니다. 
  2. 특정 구간에서 속도를 줄여줍니다.
    100km/h제한이 있는 고속도로에서 110km/h으로 달리고 있다가 과속단속 카메라를 만난다면 500m 앞에서부터 감속하여 제한속도에 맞춰줍니다. 지나고 나면 다시 설정한 속도로 돌아갑니다. 기아와 현대차는 구간 단속 구간에 들어가면 스피드를 알맞게 유지해주고 종료지점까지 평균 속도와 시간도 계산해 줍니다. 
  3. 곡선 구간에서 속도를 줄여줍니다.
    빠르게 커브를 돌면 위험하죠. 이런 구간을 만나면 스스로 속도를 줄여서 진입합니다.

사용법

핸들에 보면 크루즈 버튼이 있습니다.

크루즈 버튼과 속도를 조절하는 버튼을 보여주는 이미지입니다.

  1. CRUISE라고 적힌 버튼을 누르고 바로 아래 +RES, CNCL, SET-라고 적힌 속도를 조절하는 토글을 아래로 내리면 현재 속도에서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2. 이것을 위나 아래로 짧게 올리거나 내리면 속도가 1km/h씩 조절되고 길게 하면 10km/h씩 됩니다.
  3. 해제하려면 크루즈 버튼을 한 번 더 누르거나 브레이크를 밟으면 되고요.
  4. 제가 타고 있는 차의 경우 앞차와의 거리를 4단계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조사마다 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원리

전방 감지 센서가 앞차와의 거리를 조절합니다. 여기에 차선 이탈 보조 시스템과 차선 중앙 유지장치가 합쳐지면 자율주행 2단계가 됩니다. 고속도로를 주행할 때 보조수단으로 쓰이는 정도이죠.

 

 

연비에는 좋을까?

크루즈 컨트롤을 사용하면 연비에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이는 절반은 맞고 나머지 반은 틀린 이야기로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 기능은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오르막길을 만나면 RPM이 치솟고 기어를 낮춥니다. 속도를 유지하려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요. 내리막길에서는 반대로 탄성주행을 하며 연비를 높일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사용하면 연료를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연비개선에는 좋지 않습니다. 

스마트 컨트롤인 경우에는 옆에서 갑자기 차가 끼어들거나 반대로 천천히 가던 차가 옆으로 비켜났을 때 급정거 급가속을 하게 됩니다. 이는 연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죠. 때문에 전방 상황을 잘 주시하며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점

  1.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제한속도 단속 구간을 지날 때 편리하다. 카메라를 만나면 크루즈 컨트롤을 켜면 됩니다.
  2. 장거리 운전 시 피로감이 줄어듭니다.
    경험해본 결과 일반은 20% 정도 스마트는 70% 정도 피로감이 감소합니다. 고속도로에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은 스스로 멈추고 출발하는 것까지 되므로 막히는 길에 무척 편리합니다.

 

단점

  1. 시내 운전에서는 위험합니다. 사람과 자전거, 오토바이가 지나갈 때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르니까요.
  2. 상당히 거친 운전을 경험하게 됩니다. 급감 속과 급가속을 할 수 있습니다. 
  3. 갑자기 차가 끼어들 때 인식이 늦기도 합니다.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컨트롤?

  1. 도로 제한 속도에 맞춰 속도를 줄여줍니다.
  2. 특정구간에서 속도를 줄여줍니다.
  3. 커브구간을 미리 파악하여 속도를 줄여줍니다.

 

스마트 컨트롤 작동조건이 아닙니다?

가끔 이런 문구가 뜨기도 하는데요. 제가 경험한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차량마다 다를 수도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 멈춰있거나 10km/h의 너무 느린 속도일 때 
  2. 비가 눈으로 인해 전방센서가 작동하지 않을 때

 

오늘은 크루즈 컨트롤의 종류와 사용법, 장단점과 연비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