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 나오는 차들은 거의 TPMS 기능이 있어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떨어지면 경고등으로 알림을 줍니다. 이렇게 되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가 있겠는데요. 날씨가 추워졌을 때와 타이어가 손상된 경우가 그것입니다. 자주 가는 카센터가 있다면 좋은데 그렇지 않을 경우 얼마로 넣어야 할지 아시나요?
공기압이 낮을 때 높을 때 타이어에 미치는 영향
- 낮을 때는 사이드월의 기울어짐이 커지고 가쪽이 닳아져 연비가 떨어집니다. 접지면이 넓어져 열이 과다하게 일어나 불규칙 마모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 높을 때는 가운데 부분이 더 많이 마찰이 생겨 빨리 닳아지게 되는데요. 타이어도 빵빵해지기 때문에 더 통통 튀는 느낌이 들 수 있고 외부충격에 약해집니다. 또한 접지력이 떨어져 브레이크가 밀리기도 합니다.
타이어 적정 공기압 수치 확인 방법
운전석 문을 열어보세요. 그러면 시트 옆 쪽에 무언가 적혀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저 위치에 주행 전 상태에서의 타이어 표준 공기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왜 주행전이 기준일까요? 차가 달리기 시작하면 타이어는 마찰 때문에 그 온도가 올라가고 더불어 공기압도 상승되기 때문입니다.
제 차는 타이어가 3종류가 사용되는데요. 이에 따른 공기압이 앞뒤 모두 230 kPa 또는 33 psi로 동일합니다. 휠크기나 타이어 사이즈에 따라서 표준 공기압이 다르다면 각각 표기되어 있을 것이니 보고 하시면 됩니다.
적정수치로 맞추고 난 후
저는 이것을 알기 전에는 항상 40 psi로 맞춰놓고 다녔었는데요. 어느 순간 표준에 맞춰서 넣어보았습니다. 그리고는 조금 놀랐습니다. 같은 차인데 공기압하나 바꿨다고 승차감이 이렇게 달라지다니요. 제가 타고 다니는 차가 그렇게 좋지는 않지만 많은 차이를 느꼈습니다. 이것은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저는 확실히 느꼈네요.
알아둘 것
- 우리가 '공기압이 낮습니다'라는 경고등을 볼 때는 주로 날씨가 추워질 때입니다. 온도가 내려가면 공기의 부피가 줄어듭니다. 그래서 겨울에 이왕 넣으러 왔을 때는 표준 보다 1,2 정도 더 넣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실제 공기압을 넣는 기계는 주로 psi와 bar를 변환하는 기능이 있는데요. 1 psi는 약 0.069 bar라고 합니다. 이것을 계산하지 마시고 적혀 있는 단위대로 바꾸어서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원하는 값으로 설정되었으면 주입구를 타이어 공기 넣는 곳에 끼우고 Start를 눌러줍니다.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삐삐삐' 소리가 나며 바람 새는 소리가 납니다.
- 만약 내가 원하는 수치보다 더 높게 넣었을 경우 뚜껑을 빼고 주입구에 작게 튀어나와 있는 것을 손톱으로 누르면 바람이 빠집니다. 어느 정도 빼야 할지 모르니까 많이 빼고 다시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의 확인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타이어 교체시기 확인 방법, 한번에 알아보기
자동차는 주기적으로 갈아주어야 하는 소모품들이 있습니다. 그중의 하나가 바로 타이어인데요. 제때 교체해주지 않는다면 빗길이나 눈길에서 달리다가 멈추는 제동거리가 길어져 사고 날 위
www.month-1000.com
알아두면 쓸모있는 스마트키 배터리 낮을 때 교체 및 대처 방법
여느 때와 같이 차에 타서 시동을 거는데 '스마트키 전압이 낮다'는 알림이 울렸습니다. 아니 애초에 키의 버튼이 먹통이 되어 문이 열리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무척 당황했는데요. 이럴 때는
www.month-1000.com
음주운전 기준, 처벌 총정리
술은 양날의 검입니다. 잘 모르는 사람과 친해지거나 싸웠던 이들이 화해를 하는가 하면 잘 지내던 사이가 멀어지기도 하고 취한 상태로 운전을 해서 불특정 다수에게 위험을 주기도 하죠. 특히
www.month-1000.com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 현대차의 발레모드 뜻과 실행, 해제 방법까지 한번에 알아보자 (0) | 2023.02.11 |
---|---|
쉐보레 트래버스 제원, 장단점, 가격에 대해 알아봐요 (0) | 2023.01.24 |
크루즈 컨트롤의 종류와 사용법 및 장단점, 연비는? (0) | 2023.01.09 |
알아두면 쓸모있는 스마트키 배터리 낮을 때 교체 및 대처 방법 (0) | 2022.12.19 |
장기렌트 장단점, 알아두면 좋은 사실 정리 (0) | 2022.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