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와 가까운 금융

증여세 계산하는 방법 알아보기

by 가니 아빠 2022. 9. 4.

내가 가지고 있는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게 되면 내는 세금이 있습니다. 저도 나중에 부자가 되면 저희 아이들에게 아파트와 같은 부동산 자산을 물려주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럴 때 내는 증여세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여세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를 알아야 합니다. 나와의 관계에 따른 면제한도, 과세표준에 따른 세율 그리고 이를 이용한 계산방법입니다. 천천히 따라서 해보시면 내 상황에서 내야 하는 세금이 얼마인지 쉽게 알 수 있을 겁니다.

나와의 관계에 따른 면제한도

재산을 가진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10년간 면세되는 한도입니다. 

  • 배우자에게 증여 시 6억
  • 직계존속 5천만 원
  • 직계비속 성인인 경우 5천만 원, 미성년자인 경우 2천만 원
  • 기타 친족 (장인, 장모, 며느리, 사위 등) 1천만 원
 

직계존속, 직계비속 그 정의와 차이

생활할 때는 다 같은 가족인데 법률에서는 직계존속, 직계비속 등의 용어를 사용하며 구분합니다. 청약 시 부양가족에 대한 내용과 상속 우선순위 등 여러 분야에서 꼭 나오는 개념인데요. 오늘

www.month-1000.com

 

과세표준에 따른 세율

과세표준이란 증여하는 금액에서 면제한도를 뺀 것입니다. 즉 세금이 붙는 금액을 이야기하죠. 또한 1억 이상의 금액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누진 공제가 적용됩니다. 누진공제는 앞에 있는 구간의 최대액의 10%씩을 누적시켜 적용해서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 과세표준이 1억 원 이하일 때 그 금액의 10%
  • 1억 이상 5억 이하 해당 금액의 20%(여기에 누진공제 1천만 원 적용)
  • 5억~10억 30%(여기에 누진공제 6천만 원 적용)
  • 10억~30억 원 40%(여기에 누진공제 1.6억 원 적용)
  • 30억 초과 50%(여기에 누진공제 4억 6천만 원 적용)

 

세금 계산방법

세율에 따라 계산을 한 금액에서 신고세액 3%를 공제하면 최종적으로 내야 할 세금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현재 성인인 아들에게 3억의 금액을 증여한다고 할 때의 세금 계산 방법입니다.

  1.  성인인 직계비속의 면제한도 적용
    3억-5천만 원 = 2억 5천만 원
  2.  과세표준에 따른 세율 적용하기
    1억 이상 5억 이하의 구간에 포함되기 때문에 20%를 적용
    2억 5천의 20%는 5천만 원
    여기에 누진공제 1천만 원을 적용 5천만 원-1천만 원= 4천만 원
  3.  신고세액 3%를 공제합니다.
    4천만 원에 0.97을 곱하면 3880만 원인데요. 최종적으로 납부하는 금액입니다.

 

면제한도가 5천만 원에서 1억으로 늘어난다면?

최근에 면제한도를 5천만 원에서 1억으로 늘린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것이 진행될지 안될지는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만약 실행된다면 위와 같은 경우에 내야 하는 금액이 3880만 원에서 2910만 원으로 970만 원이 줄게 됩니다. 

 

그밖에...(상속세와 증여세)

재산을 물려주는 것에는 두 가지 종류의 세금이 있습니다. 상속세와 증여세인데요. 이 둘의 차이를 아시나요? 상속세는 재산 소유자의 사망으로 인해 가족이나 친족들에게 이전되는 것을 말하고 증여세는 소유자가 살아있을 때 재산을 물려주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깨알같이 짚고 넘어갑니다.

 

오늘은 증여세의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