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손목을 보았는데 뼈가 솟은 경우를 가끔 보게 됩니다. 이 상황을 마주하면 이상한 것은 아닌지 불안한 마음이 제일 먼저 들 겁니다. 거기에 약간의 통증이 있다면? 더 겁이 나겠죠. 오늘은 손목뼈 튀어나옴에 대한 3가지 원인과 각각의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손목의 튀어나온 뼈의 이름이 궁금하다면 다음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결절종
손목의 힘줄의 섬유를 싸고 있는 막에 활액이 고여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왜 그런지에 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고 손을 많이 사용하면 커지고, 쉬면 작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휴식을 권장받습니다. 병원에 가면 주사기로 활액을 빼내는 치료를 하는데 맑고 투명한 물이 나옵니다. 다만 이렇게 해도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시 생길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움직이거나 만질 때 통증은 느껴지지 않습니다만 관절이나 혈관, 신경 근처에 위치할 경우 가동범위 제한이나 통증과 같은 이상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면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근육으로 인한 부정렬이 원인인 경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부학에 대해 간단히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이야기하는 팔은 크게 상완과 전완으로 되어있습니다. 전완의 뼈는 척골과 요골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척골은 상완골과 팔꿈치 관절을 이루고 요골은 옆에 있는 척골과 인대로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이 두 개의 뼈는 4개씩 2열로 되어있는 손목뼈와 관절합니다.
한편 상완골에는 여러 가지의 근육이 있지만 상완이두근이라는 근육이 내려와서 요골에 부착됩니다. 이때 이 근육이 짧아지게 되면 요골은 척골과 인대로만 연결되어 있어서 앞으로 당겨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손목뼈와의 관절 부분에서 부정렬이 일어나고 손목뼈가 튀어나오게 됩니다.
이것이 원인이 되어 손목뼈가 튀어나왔다면 움직일 때 뻑뻑하고 가동범위가 제한되며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상완이두근을 이완시켜 주고 스트레칭하는 것입니다. 요골 또한 근육이 당기는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손목을 약간 견인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그럼 어떻게 이완시켜야 할까요? 꾹 누르는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허혈성 압박이라고도 부릅니다.
이제 스트레칭 방법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상완이두근에 대한 스트레칭은 손바닥이 전방을 향하게 선상태에서 벽 옆에 섭니다. 손을 벽에 붙이고 몸을 반대쪽으로 돌립니다.
손목을 견인하는 방법
- 앉은 상태에서 손등과 손바닥을 무릎으로 잡고 몸을 뒤로 기울이는 방법
- 양쪽을 깍지 낀 후 반대 손으로 당기는 방법
사고가 난 경우(외력)
자전거를 타다가 넘어진 경우, 침대에서 떨어지다가 손을 짚은 경우, 자동차 사고 등등 많은 케이스들이 있습니다. 어찌 되었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다친 경우는 단지 뼈만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인대나 근육도 손상되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꼭 병원에 가서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해당 부위의 부종과 염증, 통증이 동반되기 때문에 의사 선생님의 지시를 따르기 바랍니다.
오늘은 손목뼈가 튀어나오는 3가지 원인과 해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손목에 뼈가 돌출되신 분들이 또 하나 궁금해하시는 것이 있는데요. 바로 튀어나온 뼈의 이름입니다.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글도 같이 보시길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의 차이, 상황에 맞게 고르는 법 (0) | 2022.10.04 |
---|---|
임플란트 2차 수술 후기와 주의할 점 (0) | 2022.09.28 |
알아두면 쓸모있는 독감백신 예방접종 접종시기 및 부작용 (0) | 2022.09.27 |
관장약 사용후기, 넣는 법 (0) | 2022.09.18 |
아기 수족구 증상과 주의할 점 (0) | 2022.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