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알아두면 좋아요130

해외 이주시 국민연금 받을 수 있을까? 반환 일시금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나라 국민은 국민연금을 의무적으로 가입하여 돈을 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정이 생겨서 해외로 이주해야 할 때는 받을 수 있을까요? 이것도 엄연한 내가 받을 돈인데 말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받을 수 있습니다. 반환일시금을 아시나요? 국민연금 가입자가 그동안 냈던 것을 돌려받는 것을 '반환 일시금'이라고 합니다.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시금으로 받는 돈이죠. 이 반환일시금을 받을 수 있는 사유는 국민연금법에 정해놓았는데요. 아래와 같습니다. 가입기간 10년 미만인 사람이 60세가 된 경우 과거에 가입했던 사람이나 현재 가입자가 사망했는데 유족연금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국적을 상실하거나 국외로 이주한 경우 때문에 국외로 이주하는 경우에는 그동안 냈던 국민연금을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2023. 10. 17.
택시 기본요금, 심야할증 시간대, 택시비 계산기로 예측하기 오늘은 택시 기본요금, 심야할증 시간대에 대해 알아보고 택시비를 미리 예측해 볼 수 있는 계산기를 살펴보겠습니다. 최근에 택시비가 올랐죠. 기본은 물론이고 km당 요금도 올랐습니다. 그래서 택시를 탈 때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심야할증시간대는 말할 것도 없고요. 택시 기본요금 및 심야할증 시간대 먼저 택시 기본요금과 심야할증 시간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별시와 광역시에 대해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기본요금 심야할증시간대 서울 4,800원 22시~04시 부산 4,800원 23시~0시 대구 4,000원 23시~04시 인천 4,800원 22시~04시 광주 4,300원 00~04시 대전 4,300원 23시~04시 울산 4,000원 22시~04시 그 밖의 지역과 심야시간에 따른 할증율 등.. 2023. 10. 17.
산정특례제도 대상자, 혜택 및 신청과정 오늘은 산정특례제도 대상자와 혜택 그리고 신청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뉴스나 신문기사에 보면 산정특례에 관한 말이 많이 나옵니다. 이는 나라에서 정한 특정 질환에 걸린 환자를 지원하는 제도인데요. 어떤 질환이 대상자가 되고 어떤 혜택이 있는지 또 그 신청과정까지 살펴보죠. 산정특례제도란? 산정특례제도의 정확인 이름은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고액의 비용과 장기간의 치료가 요구되는 특정 질환을 선정하여 치료에 들어가는 비용을 지원하여 경제적으로 부담을 덜어주는 것입니다. 주변에 산정특례의 혜택을 받는 분들이 있는데 나라에서 책임지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들어 매우 든든해하십니다. 대상자 및 혜택 산정 특례 제도의 대상자는 암, 심장, 뇌혈관, 희귀, 중증난치, 중증 화상, 중증외상.. 2023. 10. 16.
인터넷 확정일자, 전입신고 하는 방법 알아보기 오늘은 인터넷으로 확정일자, 전입신고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차인이라면 대항력을 가지기 위해 실거주를 포함해서 이 두 가지가 기본입니다. 예전에는 읍면사무소나 주민센터를 방문해야만 했는데 지금은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 인터넷으로 확정일자 신청하기 확정일자는 대한민국 법원 인터넷 등기소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포털에서 검색해도 되지만 번거롭기 때문에 링크를 준비해 놓았습니다. 이 이상을 진행하려면 3가지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본인인증 가능한 인증서 인터넷 등기소 회원 가입 로그인 이 모든 준비가 끝났다면 상단의 메뉴에 '확정일자'를 누른 후 '신청서 작성 및 제출'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신규'를 눌러 진행하면 됩니다.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기 인터넷 전입신고는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2023.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