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비만도에 관련이 있는 체질량지수(BMI)를 계산하는 방법과 내 키에 맞는 표준 체중을 구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생각보다 몸관리 특히 체중에 대해 고민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알맞은 목표를 세우고 실행해서 몸의 건강을 지키시기 바랍니다.
체질량 지수(BMI)란?
체질량 지수를 영어 약자로 BMI라고 합니다. 이는 Body Mass Index의 첫 글자를 딴것으로 비만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많이 쓰입니다. 여기에 들어가는 수치는 체중과 키, 이 두 가지인데요. 이를 통해 현재 내 키에 맞는 체중을 알고 몸관리를 해 나갈 수 있게 됩니다.
많이 쓰이는 지표이지만 여기에는 커다란 맹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근육과 지방의 무게인데요. 근육은 지방보다 조직에 흐르는 혈액의 양이 많기 때문에 더 무겁습니다. 따라서 같은 키에 비슷한 체형이라고 했을 때 근육량이 더 많은 사람이 체중이 더 많이 나갑니다. 그러면 근육이 많은 사람이 BMI 수치가 높게 나와서 비만에 가깝다는 결론이 나버립니다. 뭔가 안 맞죠?
BMI 계산기& 계산방법
BMI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 가지 유의해야 할 점은 키를 cm가 아니라 m 단위로 바꿔서 계산한다는 것입니다. 그럼 해볼까요.
자신의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눕니다. 예를 들어 키가 180cm(1.8m)에 90kg이라고 하면 90을 1.8의 제곱으로 나눕니다. 이렇게 하면 대략 27.78 정도 나옵니다.
BMI 수치별 몸상태
이제 이 수치로 내 몸상태를 체크해야 합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3단계 비만 | 2단계 비만 | 1단계 비만 | 비만 전 단계 | 표준 | 저체중 |
35이상 | 30~34.9 | 25~29.9 | 23~24.9 | 18.5~22.9 | 18.5미만 |
나에게 알맞은 체중(표준 체중) 계산하기
이제 내 상태가 어떻다는 것은 알았습니다. 만약 비만이라면 몇 kg을 목표로 관리를 해야 할까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해 보세요.
계산법도 알아보겠는데요. 브로카 변법이라는 방법입니다.
키가 150cm 미만인 경우 : 키(cm) -100
키가 150cm 이상 160cm 미만인 경우 : (키(cm)-150) / 2 +50
키가 160cm 이상인 경우 : (키(cm) - 100) X 0.9
예를 들어 키가 158cm인 경우는 (158-150) / 2 +50 이기 때문에 54kg이 적정체중이라고 나옵니다.
BMI 지수의 맹점
앞에서도 잠깐 언급했듯이 체중과 신장으로만 평가하는 것은 너무 큰 맹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주변에는 골격근의 양과 체지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인바디가 있는데요. 제대로 된 평가 후에 관리를 하고 싶다면 인바디로 측정 후 목표를 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마치며
비만도에 가장 중요한 것은 식사입니다. 올바른 식생활 지침이 있어 이에 대해 언급하고 마치겠습니다.
- 규칙적으로 식사를 합니다. 특히 아침 식사는 꼭 합니다.
- 다양한 영양소가 골고루 있는 균형 잡힌 식사를 합니다.
- 적정열량을 섭취하여 표준 체중을 유지합니다.
- 음식을 싱겁게 하여 소금 섭취량을 줄입니다. 소금에 들어있는 나트륨은 고혈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식사는 가능한 여럿이 함께 합니다. 여럿이서 대화를 하면서 먹으면 먹는 속도가 느려져서 뇌가 포만감을 느끼는데 걸리는 20분 내에 과식하지 않을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은 체질량지수(BMI)와 표준 체중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대(베드 버그) 한국 출몰, 물린 자국, 모기와의 차이점, 퇴치 방법 (0) | 2023.11.06 |
---|---|
검은 대변, 흑변 원인 (0) | 2023.06.23 |
우울증 원인, 자가진단, 증상 등 꼭 알고 있어야겠네요 (0) | 2023.06.19 |
발냄새가 너무 심해요 원인, 제거팁 (0) | 2023.06.07 |
입냄새 구취의 원인과 해결방법, 자가진단, 쉽게 제거하는 꿀팁 (0) | 2023.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