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명사진을 무조건 사진관에서 찍던 시절에는 굳이 우리가 신분증에 들어가는 사진의 규정 또는 규격을 알 필요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기술의 발달로 내가 집에서 찍은 사진을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에 사용할 수 있죠. 오늘은 그 규정과 규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권사진 규정, 규격
여권 사진의 규격은 국제 민간 항공기구(ICAO)에서 정한 기준을 따릅니다. 그래서 다른 신분증에 들어가는 사진보다 지켜야 할 사항들이 많습니다. 여기에는 사진 크기, 안경종류, 눈썹이나 머리, 표정 등의 항목이 있는데요.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맨 마지막에는 파일에 대한 규정도 있으니 읽어보세요.
- 사진은 6개월 이내에 찍은 사진으로 가로 x세로 3.5x4.5cm의 크기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천연색 상반신 정면 사진이어야 하며 사진편집프로그램이나 필터 기능 등을 사용하지 않은 사진이어야 합니다.
- 머리 길이에 대한 항목도 있는데요. 여기에서 머리길이란 정수리에서 턱까지의 길이를 말합니다. 이것이 3.2~3.6cm 사이여야 합니다. 여자분들 머리 위로 올린다고 키가 되진 않죠.
- 여권에 들어가는 사진은 인화지에 인화된 수정이나 왜곡 없는 선명한 사진이어야 합니다. 배경은 흰색으로 사진 내에 빛반사나 그림자가 있어서는 안 되고 테두리 또한 없어야 합니다. 일반 사진에 배경을 흰색으로 바꾸거나 흰색 배경에 인물사진을 합성한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적절한 조명을 사용하여 본래의 피부톤을 정확하게 보여줘야 합니다.
- 얼굴과 어깨는 정면을 향해야 하고 입은 다물어서 치아가 보이지 않는 자연스러운 표정이어야 합니다. 웃거나 찡그리거나 측면으로 보는 포즈는 안됩니다. 머리카락으로 눈, 눈썹, 얼굴의 윤곽을 가리면 안 되고 이마에서 턱까지가 완전히 노출되어야 합니다. 당연히 눈썹도 잘 보이겠죠.
- 시선은 정면을 향하고 적목현상이 없어야 합니다. 유색의 미용렌즈, 색이 있는 렌즈를 끼운 안경 및 선글라스는 착용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눈동자나 안경 렌즈에 빛이 반사되지 않아야 하고 안경테로 눈동자를 가린 사진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배경이 흰색이므로 하얀색 옷을 입는 경우 배경과 구분이 되지 않을 수도 있겠죠. 이런 이유로 흰색옷을 입고 찍는 것은 지양하도록 합니다. 목을 가리는 티셔츠, 스카프 등도 얼굴 전체 윤곽을 가리지 않으면 착용할 수 있습니다. 종교적 의상은 일상생활에서 항상 착용하는 경우 허용되며 이마에서 턱까지가 나와야 합니다. 모자는 쓰면 안 되고 귀걸이나 목걸이 등의 장신구에 빛반사가 일어나지 않아야 합니다. 이어폰, 헤드폰 등은 착용하고 찍으면 안 됩니다.
- 아이들도 어른과 기준은 동일한데요. 36개월 이하의 영아인 경우 입을 다물기 어려울 때가 있어서 조금 치아가 보이는 정도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하나 알아둬야 할 것이 요즘에는 사진을 파일로도 소유하며 제출합니다. 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나머지 여권 사진 규정에 적합할 것
- 파일크기 500KB 이하, 파일형식 JPG/JPEG가능
- 가로 413 pixel, 세로 531 pixel 사이즈를 권장합니다.(가로 395~431, 세로 507~550 이내만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 해상도는 300 dpi권장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은?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는 주민등록증 사진 규격이 안내되어 있습니다. 하나하나 뜯어보면 여권 규격에 다 포함되는 사항들입니다. 운전면허증도 마찬가지인데요.
그래서 여권사진을 기준으로 찍고 출력을 했다면 나머지의 신분증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여권사진은 뽑아놓고 보면 전체에 얼굴비율이 꽤나 큰 편인데요. 화상자료 입력용으로 충분히 사용할만해야 하기 때문에 살짝은 비율을 줄여도 됩니다. 나머지는 동일하니까요.
오늘은 여권사진의 규정 및 규격과 이것으로 나머지 신분증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에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알아두면 좋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친구 화났을때 푸는 방법 (0) | 2023.05.31 |
---|---|
주민등록증 재발급 방법 두가지와 준비물 알아보기 (0) | 2023.05.30 |
운전면허증 재발급 신청하는 세가지 방법 (0) | 2023.05.26 |
뇌절 뜻, 쓰이는 상황 (0) | 2023.05.25 |
꿀벌 실종 사라지는 이유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0) | 2023.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