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아요

가위 눌리는 이유, 대처하는 방법

by 가니 아빠 2022. 9. 13.

여러분은 자다가 가위에 눌려본 적이 있으신가요? 저는 경험이 많지는 않지만 5번 정도는 있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지 궁금한 적은 없으셨는지요. 오늘은 이러한 것이 발생하는 이유와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렘수면과 논렘수면

가위눌리는 현상에 대해 이야기를 하자면 렘과 논렘수면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합니다.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더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렘(REM)과 논렘(NonREM) 수면의 뜻과 효율적인 잠자기

잠은 우리 생활에 무척이나 중요한데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OECD 국가들 중에 제일 수면시간이 짧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이 시간은 렘과 논렘에 대해 알아보고 많이 잘 수 없는 환경에서 그나마

www.month-1000.com

렘수면은 수면의 약 1/4 정도를 차지하는 수면 단계인데요. 우리가 꾸는 꿈은 이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꿈속에서 우리는 많은 활동을 하죠. 심지어는 하늘도 날아다니고 운전도 하는데요. 이때 우리 몸이 같이 움직인다면 대번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숨을 쉬는 호흡근과 눈을 깜빡이는 근육 외에 팔다리는 움직이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가위눌림을 의학적인 말로 '수면 마비(Sleep palsy)'라고도 부릅니다.

 

가위에 눌리는 상황

바로 이런 상황에서 눈을 뜨면 가위에 눌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이때 보는 귀신은 어떻게 된 것일까요? 들리는 소리는요? 이것은 우리가 꿈을 꾸다가 눈을 떴기 때문에 꿈에서의 환각과 환청을 이어서 듣는 경우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눈은 번쩍 떴는데 렘수면 상태이기 때문에 몸이 움직여지지 않고 목소리도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 

 

원인이 되는 요소들

그럼 이러한 것을 유발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트레스나 극심한 피로, 무서운 영화 또는 사진, 수면부족, 불안감, 강한 충격을 받았을 때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저도 생각해보면 정신적으로 충격을 받거나 어떤 생각에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느껴 계속 그 생각만 하게 되면 꿈에 나오고 가위에 눌리는 현상을 경험했던 것 같습니다. 

 

대처법은?

렘수면에서 눈이 떠진 것이기에 별다른 대처법은 없다고 합니다. 우리는 흔히 가위에 걸리면 발가락을 움직이거나 인상을 쓰거나 기침을 하거나 주먹을 불끈 쥐어라'라는 이야기를 듣기도 합니다. 하지만 굳이 이렇게 하지 않아도 1~2분 정도 편하게 있으면 자동으로 풀리니 무서워하거나 걱정하지 마시고 잠을 청하면 되겠습니다.

 

병은 아닌 것일까?

가위눌림이 만성적으로 발생한다면 진료를 받아볼 것을 권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우리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특히 최근 연구에 의하면 수면 마비가 자주 발생하는 환자는 뇌하수체의 하이포크레틴이란 물질의 분비에 이상이 생기는 기면병을 의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잠자다가 깨는 과정에 문제가 생겨 낮에 졸리고 렘수면 장애가 있어서 환각, 환청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 

 

오늘은 자는 동안 가위눌리는 현상과 이에 대한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