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을 볼 때마다 보이는 팔자주름, 참 나이 들어 보이게 합니다. 오늘은 이것의 원인을 알아보고 운동을 하거나 습관을 개선하여 예방 혹은 없애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병원에 내원해서 각자의 주름의 원인을 알면 제일 좋겠지만 오늘은 일반적인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팔자주름이란?
팔자주름은 코옆에서부터 입 양쪽 끝으로 생기는 주름입니다. 숫자 8을 의미하는 한자 八(여덟 팔)과 모양이 비슷하다고 해서 이렇게 이름이 붙었지요. 얼굴 전면에 있어서 무척 잘 보이고 원래 나이보다 더 있어 보이게 하기 때문에 다들 신경 쓰는 주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원인
우리는 모두 중력아래에서 살고 있습니다. 우리의 얼굴도 그 무게만큼 땅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죠. 하지만 근육이 탄력성을 가지고 그 무게를 버텨내고 있습니다. 팔자 주름은 얼굴의 광대 부분의 무게와 관련됩니다. 그렇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치 용수철이 늘어나는 것처럼 피부의 탄력성이 저하됩니다.
탄력이 저하되는 원인은 노화라고 간단히 이야기할 수도 있지만 히알루론산과 콜라겐의 감소, 얼굴근육의 약화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앞광대의 살이 많이 찌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고요.
물론 이것 말고도 잇몸뼈가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선천적인 원인도 있습니다.
정리하면
- 피부탄력의 감소
- 체중의 증가
- 선천적인 원인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팔자주름 예방 혹은 없애는 방법
- 보습하기
- 보습은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이를 위해서는 크림이나 팩과 같은 화장품을 잘 사용해 주는 것이 좋겠죠.
- 체중조절
- 앞광대에 지방이 쌓여 무거워지면 처지고 팔자주름이 생깁니다. 선택적으로 딱 거기만 지방을 빼면 좋겠지만 병원에서는 가능할지 몰라도 혼자서는 불가능합니다. 이런 경우 다이어트를 해서 살을 빼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너무 급하게 빼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3개월 동안 본인 몸무게의 10%를 감량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합니다. 60kg이 나간다면 세 달에 6kg, 한 달에 2kg이 제일 좋다는 것이죠. 그 이상은 몸의 밸런스를 깨뜨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운동하기
- 피부는 아래쪽으로 중력을 받기에 위로 올려주는 운동을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우리 일상에서 가장 신경 쓰지 않고 할 수 있는 것은 크게 웃어주는 것이고요.
- 입을 벌리고 입술만 닫은 후에 혀를 한 방향으로 돌리는 운동도 입 주변의 구륜근을 강화시켜 팔자주름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우리 한글의 모음 '아에이오우'를 정확하게 힘줘서 발음하는 것도 얼굴 근육을 강화시키는 방법이니 해보시기 바랍니다.
- 피부는 아래쪽으로 중력을 받기에 위로 올려주는 운동을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개선해야 할 습관
- 턱괴기
- 흡연
- 빨대 이용해서 음료수 마시기
- 엎드려서 자는 습관
오늘은 우리 얼굴에 나이 들어 보이는 요소 중 하나인 팔자주름 예방 혹은 없애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흔히 '관상이 어떻다'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신기하게도 살아온 세월은 얼굴에 기록되는 것 같습니다. 어떤 이는 얼굴에서 욕심이 보이고 또 다른 이는 넓은 인성이 보이기도 하죠. 물론 100% 정확하지는 않지만 우리가 즐겁게 웃으며 살아가는 것이 팔자주름을 예방 혹은 없애는 것뿐만이 아니고 얼굴에 좋은 인품을 쌓는 일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렘(REM)과 논렘(NonREM) 수면의 뜻과 효율적인 잠자기
잠은 우리 생활에 무척이나 중요한데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OECD 국가들 중에 제일 수면시간이 짧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이 시간은 렘과 논렘에 대해 알아보고 많이 잘 수 없는 환경에서 그나마
www.month-1000.com
'알아두면 좋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장려금 신청 조건 및 자격 (0) | 2023.04.21 |
---|---|
손해평가사 시험 일정, 과목, 평균연봉,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07 |
폐가전제품무상방문수거 서비스 신청 방법과 품목, 또 나만 몰랐네? (0) | 2023.03.31 |
주택관리사 시험 일정, 과목, 합격률, 평균연봉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29 |
신생아 출산 전기세 감면 혜택과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