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아요

주택용 전기 한전 에너지 캐시백, 1kWh당 최대 100원, 신청하세요

by 가니 아빠 2023. 6. 20.

작년 세종시와 일부 지역에서 먼저 시행되었던 에너지 캐시백이 올해 7월부터 전국으로 확대됩니다. 그런데 이것은 아끼기만 해서 되는 것은 아니고 신청을 꼭 해야 해요. 당연히 될 거라고 생각하고 절약만 하면 다른 분들에 비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오늘 그 내용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에너지 캐시백 내용

대상

이것은 주택용 전기를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소득과 재산에 상관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

2023년 7월부터 시행되는데 6월 7일 수요일부터 온라인으로 신청을 받고 있어요. 따로 마감기한은 정해져 있지 않지만 8월 31일 신청하면 이미 지나간 7월 분도 소급적용받을 수 있으니 늦어도 8월 내에는 하는 것이 좋습니다.

 

 

 

 

캐시백 금액

기존의 금액인 1 kWh당 30원의 금액에 30~70원을 더해 1 kWh당 최대 100원을 돌려받을 수 있는데요. 

과거에는 동월 평균 대비 절감률이 3% 이상, 동일 검침일, 동일지역(한전 15개 지역본부 기준) 참여자 평균절감률 이상 달성할 경우, 절감률 30%를 한도로 1 kWh당 30원을 지급했었습니다.

여기에 오는 7월부터는 과거 2개년 동월 평균 대비 5% 이상 절감할 경우 절감률 30%를 한도로 절감률 수준에 따라 1 kWh당 30~70원을 추가 지급합니다. 

24년부터는 30~50원으로 조정됩니다.

 

 

 

 

다음은 캐시백 구간별 추가 지급단가입니다.

절감률 달성구간 23.7~12월 24.1월이후
5%이상~10%미만 10%이상~20%미만 20%이상~30%이하 5%이상~15%미만 15%이상~30%이하
지급단가 30원/kWh 50원/kWh 70원/kWh 30원/kWh 50원/kWh

 

 

실제로 얼마나 전기세가 줄어들까?

2022년 7~8월 4인가구의 2개월 평균 전기사용량은 427 kWh로 월 66,690원의 전기요금이 부과되었습니다. 올해에 작년과 동일하게 사용하면 전기 요금인상에 의해 80,530원을 부과해야 합니다. 13,840원을 더 내야 하는 거죠. 이것을 기준으로 절약 구간에 따른 사용량, 캐시백, 사용료 감소액 그리고 청구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량 캐시백 사용량에 따른 감소액 최종 청구액
작년 427kWh -   66,690원
올해 427kWh - +13,840(전기요금 상승) 80,530원
10% 절약시 384.3kWh 3,900원 -11,180원 65,450원
20% 절약시 341.6kWh 9,770원 -22,360원 48,400원
30% 절약시 298.9kWh 14,660원 -34,100원 31,770원

 

 

 

 

지급방식

기존에는 현금, 기부, 전기요금 차감 중에 선택할 수 있었고 반기단위로 지급되었는데 7월부터는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신청 방법

7월 전에는 온라인 신청만 가능합니다.

  • 6월에 나가는 전기요금 청구서에 포함된 QR코드를 스캔하기
  • 한전 에너지 캐시백을 검색하여 신청하기 
  • 한전 에너지 캐시백 신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 모바일앱 한전:ON을 다운로드 후 신청하기
  • 한전 고객센터(국번 없이 123)로 전화하고 가입경로 URL을 문자로 받아 접속 후 신청

7월에는 가까운 한전 사업소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접수 가능시기는 별도공지됩니다. 

 

 

 

 

오늘은 에너지 캐시백 제도의 내용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신청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전기를 아끼러 갈 차례입니다. 어떻게 절약할 수 있는지 다음 글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기세 아끼는 방법, 절약만이 살길입니다.

요금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전기도 마찬가지인데요. 그대로인 것은 내 월급뿐입니다. 이럴 때는 아끼는 것이 상책인데요. 오늘은 전기세를 어떻게 아낄 수 있는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

www.month-1000.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