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아요

가스라이팅 유래, 뜻, 대처법 알아봐요

by 가니 아빠 2022. 12. 6.

가스 라이팅이라는 말이 어느 순간 부쩍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가스버너에다가 불을 붙이듯이 누군가를 부추기는 건가?'라고 생각했는데 전혀 아니더군요. 이러한 단어가 어디서 어떻게 유래되었는지 그리고 뜻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래

가스라이트 연극 포스터입니다.

가스 라이팅이란 말은 1938년 패트릭 해밀턴의 연극 '가스등(Gas light)'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아내의 재산을 목적으로 결혼을 한 남편은 어느 날 2층에 있는 보석을 발견하게 됩니다. 밤에 이것을 훔치려고 불을 켜는데요. 그때의 등은 한쪽에서 불을 켜면 같은 건물의 다른 등불이 약해지는 특징이 있었습니다. 마치 오늘날 세면대 물을 틀어놓은 상태에서 싱크대 수도를 틀면 수압이 약간 약해지는 것처럼요. 이 때문에 아내는 본인이 있는 방의 불이 약해진다는 것을 인지하는데요. 여기에 무언가 소리도 들립니다. 하지만 남편이 "네가 잘못 들은 거야.", "잘못 본거야"라고 합니다. 또 외출할 때 아내의 브로치를 숨기고는 "그러게 주의하라고 했잖아. 그걸 어떻게 잃어버려?"라고 이야기해서 자신에 대한 확신이 없게 만듭니다. 

 

 

이 영화의 내용과 같이 피해자가 본인이 보고 들은 것까지 스스로 판단하지 못하게 하여 그의 행동을 지배하고 가해자에게 의지하게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결국 가해자가 시키는 대로 하게 되어 정서적 통제라고도 합니다.  그런 사람들의 화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다른 사람은 널 잘 몰라 
  • 나니까 너한테 이런 이야기 해주는 거야.
  • 너 잘되라고 하는 이야기야.
  • 너는 그것밖에 안 되는 사람이야. 
  • 너 너무 예민해.
  • 날 위해서 그것도 못해줘?

 

이런 말들은 상대방의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고립시키는 말입니다. 

 

 

 

가해자, 피해자의 특징

  1. 연인, 부부, 가까운 직장 동료관계, 부모 자식과 같은 친밀한 관계가 많고 상하 관계에서 주로 일어납니다.
  2. 가해자는 먼저 버럭 화를 내거나 싫은 소리를 하고 자기 합리화로 "내가 너니까 이런 이야기해주는 거야." 등의 이야기를 합니다.
  3. 가스 라이팅의 피해자도 가해자도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항상 깨어서 경계해야 합니다.
  4. 피해자는 가해자와 이야기하고 나면 무기력해지고 의욕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5. 친밀한 관계가 형성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해자의 행동을 변호해줍니다. 
  6. 피해자에게 긴 시간 동안 가해자의 생각이 계속해서 주입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쉽게 벗어나기 힘듭니다.

 

 

예시

1. "결혼할 때는 남자가 집을 해와야지" 이것처럼 결혼할 예정인 남자를 무기력하게 만드는 것이 있을까요. 여성들도 여기에 세뇌되어 이렇게 이야기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2. A는 현 업계에서 20년 이상 일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그는 이 직업이 너무 지겹습니다. 그래서 신입사원이 오면 항상 "이 직업은 비전이 없어.", "왜 여기에 왔니. 여기는 이미 끝났어."라고 항상 이야기하고 다닙니다. 

 

 

대처법

  1. 만약 내가 그 피해자라고 생각된다면 나를 무기력하게 하는 사람을 멀리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구실을 만들어 연락을 피하거나 마주치지 않게 하고 관계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나의 장점을 알아봐 주는 사람을 가까이해야 합니다. 
  2. 만약 주변에 의심되는 사람이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가서 "너 가스 라이팅 당하고 있는 것 같아."라고 이야기해줘야 할까요? 아닙니다.
    이러한 수법에 사용되는 말은 자신에 대한 확신을 없애는 부정적인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면 그 반대로 상대방의 장점을 계속 이야기해주고 자신감을 북돋아주는 말을 해주세요. 그러면 나를 무기력하게 만드는 사람보다는 인정해주고 자신감을 주는 당신을 더 가까이하게 될 겁니다. 

 

 

오늘은 가스 라이팅의 유래와 뜻,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