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인터넷으로 사업자등록번호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뱅크나 K뱅크 같은 인터넷 은행으로 비대면 대출을 직장인이 받으려고 하면 속해있는 사업장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알아야 합니다. 사업주나 상급자에게 물어보면 알 수 있기는 하지만 '저 대출받아요'라고 알리는 것 같아서 꺼려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 글을 보면 이제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됩니다.
사업자 등록번호 온라인으로 조회하기
1. 전자공시시스템 다트(DART)에서 조회하기
코스피, 코스닥에 등록된 회사를 다니신다면 전자공시 시스템 다트에서 조회하면 됩니다. 주식을 하신 분들이라면 DART가 익숙하실 겁니다. 기업에 관한 기본 정보, 공시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사업자 등록번호 혹은 법인등록번호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홈화면에 있는 '기업개황'에 들어가서 회사이름을 입력하세요.
2. 비즈노넷에서 조회하기
만약 내가 다니는 회사가 상장회사가 아니라고 하면 비즈노 넷에서 조회해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포털에서 '비즈노넷'이라고 검색하고 들어가도 되지만 번거롭기 때문에 아래에 링크를 남겨두겠습니다. 이 방법의 큰 장점은 간단하다는 것입니다. 회원가입이 없이도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바로 검색창이 나오는데 좌측에 지역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이것을 먼저 설정해 주시고 상호를 입력하면 훨씬 쉽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상호만 입력하면 전국에 있는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동일한 이름의 다른 사업장도 나오거든요.
같이 볼 수 있는 정보는 대표자명, 업태, 종목, 주소, 우편번호, 과세 유형, 관할 세무서 등입니다.
3. 모바일에서 크레탑세일즈 앱을 이용하는 방법
비즈노 넷도 모바일에서 간단히 확인할 수 있지만 한번 설치하고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크레탑 세일즈 앱도 유익합니다. 검색창에 상호를 입력하기만 하면 되니 찾는 방법도 간단합니다.
국세청 홈택스와 나이스 비즈인포 등의 방법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국세청은 상호만으로 사업자 등록번호를 검색할 수 없었고 나이스 비즈인포는 누락된 건도 있고 등록번호 뒷자리를 가려놓은 것도 많았습니다.
사업자 등록번호에 대해서
사업자 등록을 할 때 부여되는 고유번호입니다. 국세청에서 발급하고 세금을 신고, 납부하거나 공공기관에 입찰하는 등 대외적으로 해당 사업체를 인식하는데 쓰입니다. 사람으로 치면 주민등록번호와 같다고 할 수 있죠.
오늘은 인터넷으로 상호 만으로 사업자등록번호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알아두면 좋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취학통지서 온라인 발급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3.11.22 |
---|---|
휴대폰 요금 미환급금 조회, 환급받는 방법 (0) | 2023.11.21 |
대구 팔공산 케이블카 가격, 시간, 이용 가능 주차장, 전국 가을 단풍 날짜 확인 방법 (0) | 2023.11.20 |
신사업 창업 사관학교 지원대상, 내용, 신청방법 알아보기(창업 지원 정책) (0) | 2023.11.17 |
휴대폰 번호 명의 도용방지 서비스 신청방법 (0) | 2023.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