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면허증은 신분증으로 사용되기도 해서 간혹 취득일을 조회할 일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력서에 운전면허를 적으려면 발급기관을 알아야 하죠. 이런 정보는 경찰청 교통민원 24나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열람할 수 있는데요. 어떻게 하는지 오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파인(경찰청 교통민원 24) 이용하기
- 위의 바로가기를 눌러 이동합니다.
- 그러면 메인화면에 '면허조회'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 이것을 누르면 간편 인증 화면이 뜨는데요. 공동인증서와 같은 다른 방법도 가능하니 가장 편한 것으로 하면 됩니다.
- 여기까지 하면 내가 원하는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면허번호, 적검갱신일자, 기간, 갱신지, 발급일자, 합격일자, 발급지역이나 일련번호 심지어는 학원과 졸업일자까지 나옵니다.
정부 24에서 열람하기
이 방법은 인증서가 있어야 신청 가능하다고 나와있는데 간편 인증으로도 가능합니다.
- 먼저 위 링크를 통해 정부 24로 이동합니다.
-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화면가운데에 서비스를 검색하는 화면이 있는데 여기에다가 '운전경력'이라고 검색합니다.
- 그러면 '운전경력증명발급'이 맨 위에 나오는데요. 오른쪽에 있는 '발급하기'를 눌러 진행합니다.
- 회원이라면 '회원으로 시작하기', 비회원이라면 '비회원으로 시작하기'를 눌러 개인정보 이용, 수집 동의를 하고 정보를 입력합니다.
- 이제 발급사유와 수령방법을 정하고 민원을 신청하면 본인인증을 하고 프린트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그저 정보만 보고 싶다면 문서출력을 눌러 미리 보기 화면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발급기관조회는?
위의 방법대로 정보를 조회하면 발급기관이 나와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전남'으로 되어있는데요. 이것을 어디에 옮겨 적을 때에는 '전남지방경찰청'으로 적어야 합니다. 어디든 마찬가지입니다. 어디 지방 경찰청으로 기입하면 됩니다.
오늘은 운전면허 취득일과 발급기관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른 유익한 정보도 있으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족관계증명서 온라인 그 중 에서도 모바일로 발급받는 방법
가족이라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발급해야 하는 서류가 두 가지 있습니다. 가족관계증명서와 주민등록 등본이 그것인데요. 등본은 주로 가구별로 나오기 때문에 부모님이나 자녀와 따로 살고
www.month-1000.com
반응형
'알아두면 좋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도족 무슨 뜻이지? (1) | 2023.06.14 |
---|---|
잼민이 뜻과 유래, 나만 또 몰랐네 (1) | 2023.06.12 |
2023년 6월 홈플러스 휴무일 알아보기 (1) | 2023.06.12 |
싸이코패스 체크리스트(PCL-R)과 상황 테스트 6가지 모음 (0) | 2023.06.09 |
빌런(Villian) 뜻, 어원 또 나만 몰랐네? (1) | 2023.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