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로또 1등의 위엄이 전과 같지 않습니다. 당첨자가 많이 나오기 시작하더니 지난번에는 수령금이 10억 미만일 때도 있었죠. 이에 각광받는 것이 연금복권 720인데요. 어디서 어떻게 구입하는지 실수령액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입방법
연금복권은 복권 판매점과 동행복권 홈페이지에서 구매가 가능합니다. 복권 판매점에서는 종이로 된 복권을 받게 되고요. 홈페이지로 가면 회원가입, 로그인을 하고 돈을 충전한 뒤 내가 원하는 조를 포함해 7자리의 숫자를 고릅니다.
1조 123456
이런 식으로 선택하게 되는데 한 게임당 1,000원이고 각조로 구매하면 1~5조 뒤에 숫자 6자리가 붙습니다.
1조 123456, 2조 123456, 3조 123456, 4조 123456, 5조 123456 이 되는 것이지요. 6자리는 중복선택이 가능하고요.
1회에 10만 원까지만 구입이 가능하고 환불은 안됩니다. 총 7자리를 고르는 거잖아요. 끝에 한자리가 맞으면 7등, 두 자리가 맞으면 6등 이런 식으로 갑니다.
실수령액
알아두어야 할 것이 있는데 연금복권에 적용되는 세율은 22%입니다. 로또가 33%인 것을 생각해 보면 상당히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죠.
당첨금을 등수에 따라 알아보면
- 1등 700만 원/월 X 20년
- 2등 100만 원/월 X 10년
- 3등 여기부터는 일시금 100만 원
- 4등 10만 원
- 5등 5만 원
- 6등 5천 원
- 7등 1,000원
보너스 번호에 당첨되면 2등과 같습니다. 이 번호는 따로 추첨하니 2등 당첨금을 받는 사람이 한 명이라도 더 있겠습니다.
여기에 22%의 세율을 적용하면
- 1등 546만 원/월 X 20년
- 2등 78만 원/월 X 10년
- 3등 78만 원
- 4등 7만 8천 원
- 5등 5만 원
- 6등 5천 원
- 7등 1,000원
5등 이하로는 세율 적용이 되지 않고 복권 판매처에서 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2등 동시에 당첨 시 624만 원을 10년간 받고 546만 원을 나머지 10년간 받게 됩니다.
추첨하는 시간
MBC에서 목요일 오후 7시 5분쯤 생방송으로 진행됩니다. 시간을 알아두시고 시간 지나서 확인해 보면 좋겠네요.
연금복권의 장점
- 확률이 높다.
연금복권은 로또보다 당첨확률이 1.6배 높다고 합니다. 로또는 벼락 맞을 확률 보다고 낮다고 하는데 연금복권은 그보다는 낫다는 거죠. 그러니 살 거라면 연금복권을 사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물론 될 사람은 되더라고요. - 각 조로 구입을 한다면 1,2등이 동시에 될 수 있다.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각 조의 같은 번호로 샀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이런 경우 세금을 떼기 전 금액으로 800만 원을 10년간 700만 원을 나머지 10년간 받으므로 너무 좋죠. - 세율이 로또보다 낮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로또는 33%, 연금복권은 22%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 일시불로 지급이 되지 않는다.
단점으로 생각될 수도 있고 장점으로 보일 수도 있는데요. 저는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번에 목돈이 들어오면 잘못된 생각으로 사기를 당하거나 탕진을 할 수 있는데 매달 나눠서 들어온다면 아무래도 그럴 위험이 줄어드니까요.
당첨되었다면
1등이나 2등에 당첨된 경우
복권 판매점에서 구입했다면 당첨된 복권과 신분증, 통장 사본을 가지고 NH농협은행 본점으로 가야만 지급받을 수 있고요. 홈페이지에서 구매한 경우 실명인증 후 동행복권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3등이나 4등에 당첨된 경우
복권 판매점에서 구매한 경우 당첨된 복권과 신분증을 가지고 가면 전국의 모든 NH농협은행에서 지급해 주고 홈페이지에서 구입한 경우 지급신청을 하면 예치금 계좌로 넣어줍니다.
나머지의 경우
복권 판매점에서 구입했다면 당첨된 복권을 가지고 복권 판매점으로 가면 지급해 주고 홈페이지에서 샀다면 자동으로 예치금 계좌로 들어갑니다.
오늘은 연금복권 실수령액, 발표시간, 사는 방법, 당첨금 수령방법까지 알아보았는데요. 행운이 있기를 바랍니다.
'알아두면 좋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관계증명서 온라인 그 중 에서도 모바일로 발급받는 방법 (0) | 2023.02.06 |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아파트 도로명주소 영문으로 바꾸는 방법 (0) | 2023.01.18 |
폴딩도어 장단점, 인테리어할때 참고하세요 (0) | 2023.01.04 |
전세보증보험 가입했으면 주의하세요, 지급거절사유 제일 많은 5가지 (0) | 2023.01.04 |
한눈에 정리! 2023년 새해에 달라지는 것 13가지 (0) | 2023.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