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뉴스를 보면 가계부채의 위험을 알리는 것과 동시에 스트레스 DSR이라는 말이 같이 들립니다. 스트레스 DSR이 무슨 뜻이며 이를 위해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 그리고 실제 우리가 계산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SR이란?
DSR은 Debt Service Ratio의 약자로 우리말로 하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입니다. 내가 연간 버는 돈에서 1년 치 부채에 대한 원리금을 상환하는 비율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연봉이 1억 원인 사람이 1년에 2500만 원을 원리금을 갚는 데 사용한다면 DSR은 25%가 되는 것입니다.
이는 돈을 빌리는 사람의 갚을 능력을 보는 것으로 2022년 1월 이후에 1억 이상의 대출을 받는 사람에게 1 금융권은 40%, 2 금융권은 50%로 규제하고 있습니다.
이는 금리, 상환기간과 관련이 있는데요. 같은 금액을 대출받았어도 금리가 오르면 DSR 또한 오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상환기간을 늘리면 연간 내야 하는 원리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DSR이 낮아집니다. 최근 50년 주택담보대출이 이러한 원리로 대출규제를 푼 경우이죠.
이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억을 10년 상환, 3%의 이자, 원리금 균등 상환으로 대출받았는데 이것이 5%까지 오른다면 월평균 납입액이 965,607원에서 1,060,655원으로 약 10만 원가량 오르게 됩니다. 1년으로 계산하면 약 120만 원가량인데요. 1년 동안 상환하는 금액이 늘었기에 DSR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지요.
다르게 이야기하면 금리가 높아질수록 DSR로 인해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스트레스 DSR의 뜻
그렇다면 이제 스트레스 DSR의 뜻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트레스 DSR은 대출을 받을 때 계산하던 방법에 추가 금리를 더해서 DSR을 산정하는 것입니다. 앞서 알아보았듯이 금리가 올라가면 대출한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소득이 5천만 원인 사람이 4.5%의 금리로 대출하는 경우 기존의 DSR 방식에서는 4억 원을 대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 p의 가산 금리를 적용하면 한도는 3억 4천만 원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스트레스 DSR 가산금리는 매년 11월 한국은행 공시를 기준으로 합니다.
스트레스 DSR의 시행 목적
그럼 스트레스 DSR은 왜 시행하는 것일까요?
1. 대출을 줄이기 위해서
첫 번째는 대출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애초에 DSR자체도 미국에서 대출을 규제하기 위해 처음 도입한 개념입니다. 정부에서 빚을 줄여야겠다고 생각할 때 DSR을 적용하는데 지금은 더 심한 단계라서 스트레스 DSR까지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적용하면 5천만 원 받을 대출을 그 이하로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가계도 기업도 빚을 줄이게 됩니다.
2. 변동 금리 비중을 줄이기 위해서
우리나라의 대출은 변동 금리가 많습니다. 사람들이 앞으로 금리가 낮아질 것을 생각하여 다들 변동 금리로 대출을 받았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이제 금리가 오르는 시대가 되어 자칫 잘못하면 부실 채권이 될 우려가 있습니다. 이에 정부에서 변동 금리 비중을 낮추기 위해 스트레스 DSR을 도입한 것입니다.
계산기
아래는 DSR 계산기입니다. 스트레스 DSR 계산의 원리를 알았으니 금리에서 가산 금리를 더해서 입력하면 됩니다. 이전 스트레스 DTI때의 추가 금리가 1% p 정도였었는데요. 아마도 비슷하게 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모르면 손해보는 LTV, DTI, DSR 차이와 계산법
집을 살 때 대출에 대해서 알아보면 가장 먼저 맞닥뜨리는 것이 LTV, DTI, DSR와 같은 용어입니다. 맨 앞의 것은 담보의 금액을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의 비율, 그다음 두 개는 내 소득으로 부
www.month-1000.com
오늘은 스트레스 DSR 뜻, 시행 목적, 계산방법, 계산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와 가까운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햇살론유스 대출 신청 자격, 한도 알아보기 (0) | 2023.11.29 |
---|---|
토스 커플통장 개설 방법 혜택 알아보기 (0) | 2023.11.28 |
2024년 미국 주식 휴장일, 서머타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11.21 |
삼성카드 고객센터 대표, 업무별 전화번호 (0) | 2023.11.21 |
층간 소음 매트 성능 보강 지원사업, 층간소음 개선 리모델링 사업, 대상자와 신청 방법 알아보기 (0) | 2023.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