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관련팁

맥에서 한영 변환, 한자 입력 방법 알아보기

by 가니 아빠 2023. 2. 3.

애플이 계속 가성비가 좋은 m1, m2칩을 탑재한 맥을 출시해서 윈도 노트북만 들고 다니던 옛날과 달리 맥북도 종종 보이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처음 기기를 바꾸고 나면 제일 당황하는 것이 한영 변환과 한자 입력인데요.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영 변환 

일반적인 키보드를 보면 '한/영키'가 있습니다. 하지만 맥북이나 매직 키보드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데요. 하지만 잘 찾아보면 있습니다. 일반 키보드의 'Caps Locks'가 있는 자리예요.

한/영 변환키가 있는 곳을 나타낸 이미지

 

그런데 손이 잘 안 가시는 분도 있으실 줄로 생각됩니다. 제가 그러거든요. 그럴 때는 'control+space'를 눌러주세요. 그래도 한영 변환이 됩니다.

 

 

 

 

한자 입력

한자는 더 갑갑한 마음이 듭니다. 이번엔 정말 아무리 보아도 '한자'키가 없으니까요. 여기서는 한글로 음을 적고 'Option+Enter'를 눌러주세요. 한 글자씩 할 수도 있고 한 단어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입춘'을 한자로 바꾼다면 '입'뒤에서 옵션+엔터, '춘' 뒤에서 똑같이 하거나 '입춘'뒤에서 눌러주면 됩니다.

 

한자에 대한 설정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에 들어가면 '키보드'라는 항목이 있는데요. 여기서 '텍스트 입력> 입력소스'로 갑니다. 그리고 편집 버튼을 눌러주면 되는데요. 여기서 한자에 대한 것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정>키보드>텍스트입력>입력소스>편집 경로를 나타낸 이미지
한자에 대한 설정 3가지를 나타낸 이미지

영어에는 별다른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없고 한글 두벌식으로 가면 서체크기, 입력포맷, 삭제방식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중 입력 포맷을 살펴보면 3가지가 있는데요. 각각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한자 : 변환 시 한자만 표기됨

한자(한글) : 변환 시 한자뒤에 괄호 한 후 음이 표기됨. 따로 적어줄 필요가 없어 편리합니다.

한글(한자) : 반대로 한글 뒤에 괄호로 한자가 표기됩니다. 

 

 

 

 

혹시 궁금하실까 봐 적습니다. 삭제 방식은 2가지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자소 : '정'을 쓰고 백스페이스를 누를 때마다 '저', 'ㅈ'으로 바뀝니다.

글자 : 백스페이스를 누르면 한글자식 사라집니다. 

 

오늘은 맥에서 한영 변환, 한자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맥북 특수문자 입력과 없는 딜리트키 사용방법

컴퓨터의 키보드는 내가 쓰고자 하는 것을 거의 다 입력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그것이 어려울 수 있죠. 오늘은 맥북에 익숙지 않은 분들을 위해 키보드로 특수

www.month-1000.com

 

 

맥북에서 서명을? 마크업으로 그림판 대체하기

윈도우나 맥북이나 고유의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전자는 그림판, 후자는 iworks가 제일 유용한 기능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런데 맥북에서도 그림판을 대체할만한 그런

www.month-1000.com

 

맥북 배터리 잔량 퍼센트 표시로 바꾸기

맥북은 배터리에 대한 기본 설정이 잔량 표시를 이미지로만 하게 되어있습니다. 물론 우측 상단에 있는 건전지 모양을 클릭하면 정확한 퍼센트 잔량을 볼 수 있지만 부족하다고 느끼시는 분들

www.month-1000.com

 

 

아이패드 화면 맥북으로 미러링하기

아이패드는 화면의 크기가 7.9인치부터 12.9인치까지 다양합니다. 콘텐츠를 소비할 때는 큰 화면이 좋은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작은 패드와 맥북을 가진 분들은 "미러링이 되었으면..." 하는 분

www.month-1000.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