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살인의 추억은 1986년 화성 연쇄살인사건의 실화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영화는 2003년에 개봉하였는데 전체적인 느낌은 1980년대 분위기를 잘 재연하였습니다. 영화 제작 당시 그리고 그 후로도 한참 동안 미제사건으로 남았었지만 범인이 드러나서 이슈가 되었었죠. 그것도 다른 죄를 짓고 교도소에서 수감 중이었습니다. 이 영화를 생각하면 저는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이 영화에 쓰였던 OST인데요. 유재하의 '우울한 편지'입니다. 작중에서는 무언가 일이 일어날 때 라디오에서 나오는 음악이었는데요. 저는 이 전에도 이 곡을 너무 좋아했었는데 이영화를 보고 난 이후 더 그렇게 되었습니다. 이영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화 줄거리
1986년 경기도 화성시에서 젊은 여자 한 명이 무참히 강간, 살해당한 시체로 발견됩니다. 그리고 2개월 후에 같은 수법의 강간살인사건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사건은 전국으로 순식간에 퍼졌고 언론의 주목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그 일대는 연쇄살인이 또 발생할 수 있다는 공포에 휩싸이게 됩니다. 이에 특별수사본부가 설치되고 구희봉 반장을 필두로 현지에서 근무하고 있던 형사 박두만과 조용구, 그리고 서울시 경찰청에서 자원해서 온 서태윤 형사가 배치됩니다. 박두만 형사는 전부터 해왔던 대로 느낌에 의존한 수사를 하며 마을에서 설치고 다니는 젊은 건달들을 잡아서 고문하고 자백을 강요합니다. 반면 서울에서 온 서태윤은 사건 일지와 서류를 꼼꼼히 검토하며 사건의 실마리를 찾아가려고 합니다. 이 두 사람은 각자 다른 이 스타일 때문에 계속 부딪히게 됩니다. 이렇게 한 용의자를 특정해서 검거에 성공한 경찰들은 현장 검증에서 용의자가 범행사실을 부인하면서 다시 한번 난항을 맞이합니다. 더군다나 현장검증 상황에는 각종 언론들이 엄청나게 몰려든 상태여서 용의자의 그런 일탈은 생각보다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게 됩니다. 현장은 난리가 나고 이 책임을 지고 구희봉 반장은 파면당합니다. 범인의 철두철미한 성격 탓에 이후에도 별 성과가 없는 수사팀, 강간사건인데도 음모하나 남기지 않고 살해도구도 결박 도구도 모두 다 피해자의 것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특별한 것이 나오지 않습니다. 구 반장의 후임으로 신동철 반장이 부임하는데 박두만 형사는 아무런 흔적이 남지 않는다는 것에 착안하여 털이 없는 사람을 찾아 나서기 시작합니다. 근처의 절과 목욕탕을 뒤지면서 열심히 찾습니다. 그리고 사건파일을 검토하던 서태윤은 비 오는 날, 빨간 옷을 입은 여자가 범행을 당했다는 공통점을 찾아냅니다. 이제 오히려 함정을 파서 범인을 유인하려는 수사본부. 여경에게 빨간 옷을 입혀 비 오는 날 외딴 길을 걷게 하는데 다음날 아침 또다시 피해자가 나옵니다. 사건은 해결될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고 언론은 날마다 무능한 형사들의 무능을 지적하며 극단으로 몹니다. 결국 또 어떤 이를 용의자로 몬 박두만 형사는 범인을 특정하기 위해 고문과 협박을 가하는데 이에 조사를 받던 사람이 죽어버리는 상황에 더 궁지에 몰립니다. 그러던 중 라디오의 사연과 노래 그리고 사건 시각으로 인해 박현규가 용의자로 떠오릅니다. 정말 극적으로 시신에서 범인의 흔적도 나오게 됩니다. 유전자 검사를 맡겼지만 그것을 기다릴 수 없었던 두만은 박현규를 찾아갑니다. 여기서 명대사가 나오죠. "밥은 먹고 다니냐?" 검거에 성공한 순간 결과가 나옵니다. '불일치'로 현규는 범인이 아니었습니다. 그리고는 몇 년의 시간이 지납니다. 두만은 사건이 처음 일어났던 곳을 찾아와서 쳐다봅니다. 그 모습을 본 어떤 아이가 의아해하며 이야기합니다. "이상하다. 아까 어떤 아저씨도 여기를 이렇게 보고 가던데. 자기가 옛날에 했던 일이 기억나서 보는 거라고 했어요." 그리고 영화는 끝납니다.
감독과 출연배우
봉준호 감독, 송강호(박두만 역), 김상경(서태윤 역), 김뢰하(조용구 역), 송재호(신동철 반장 역), 변희봉(구희봉 반장 역), 고서희(권귀옥 역), 류태호(조병순 역), 박노식(백광호 역), 박해일(박현규 역), 전미선(곽설영 역)
깜짝 놀란 점
마지막에 저 대사를 한 아이가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 조보아 배우님 후임이었던 정인선 배우님이었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