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개봉한 남한산성입니다. 상업적으로 흥행하지는 못했지만 작품성을 인정받은 작품입니다. 왜 잘되지 못했는가라고 하면 이야기가 전반적으로 어둡고 전투가 있지만 역사를 스포일러 삼아 질 것을 알기에 그런 것 같습니다. 일단 뭐든 이겨야 재미있으니까요.
영화 배경
광해군은 국제 정세를 읽고 중립외교로 후금과 평화관계를 유지해서 나라를 온전히 지키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명분을 중시하는 사림 세력의 불만을 일으켜 인목대비 유폐 등 몇 가지 명분으로 폐위됩니다. 인조반정으로 광해를 폐하고 왕이 된 인조. 인조와 함께 정권을 잡은 서인 세력은 반정의 주역으로 정국을 주도하며 왕권을 제약하였습니다. 그리고 광해군 때의 중립외교 정책을 패륜으로 비판하면서 친명배금 정책을 추진하게 됩니다. 이러한 정책으로 후금을 자극하게 된 조선은 결국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에 휘말리게 됩니다. 후금은 청나라가 되고 조선을 쳐들어 옵니다. 이에 조정은 둘로 나뉘어 하나는 강화도에 또 하나는 남한 산성으로 들어가 저항합니다. 이영화의 배경은 1636년 인조 14년의 병자호란 당시의 남한산성입니다.
영화 줄거리
첫 장면은 김상헌이 꽁꽁 언 물 위를 건너오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손녀를 둔 할아버지가 안내를 해주는데 지난밤 적들을 안내해주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같이 가자고 이야기합니다. 할아버지는 이곳을 떠날 수 없다고 하는데 몇 번 더 설득하다가 안되니 죽입니다. 이 장면 이후에 그 손녀가 할아버지를 찾아달라고 오는데 또 이 아이를 거둡니다. 마음은 그렇지 않은데 아마 조정을 위해서 그리 한 것 같습니다. 그 미안한 마음에 손녀를 거둔 것이겠지요. 이영화는 전쟁을 반대하는 주화파(최명길)와 끝까지 싸우자는 척화파(김상헌)의 대립으로 끝까지 진행됩니다. 최명길은 계속해서 청군 진영을 찾아가는데 세자를 보내라는 요구를 인조가 받아들이지 못해 계속해서 계속 전투가 벌어집니다. 그 가운데 백성들은 죽어가고 인조는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끝까지 가게 되고 중간중간에 아침에 명나라 황제를 향해 절을 하는 모습이 나타나 한숨을 쉬게 하는 장면도 있습니다. 김상헌이 나쁜 사람이 아닌 것을 계속 나타내는 것이 병사를 위해 날쇠가 건의한 것을 왕에게 건의하여 실행하게 되는 모습이 나옵니다. 인조가 아무 결정도 못한 채로 그렇게 남한산성은 고립된 채로 계속해서 버텨나가는데 먹을 것도 없고 추위를 견딜 것도 없는 상황에서 더 궁지에 몰리게 됩니다. 그러던 중 청 태종이 전장에 도착하여 전세는 더욱 불리해지는데 이때 김상헌은 인조의 밀지를 근왕병에게 전달하여 협공을 할 계획을 세웁니다. 하지만 남한산성은 포위당한 상태라서 그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죠. 그래서 이곳 지리에 밝은 대장장이 날쇠에게 그 임무를 맡깁니다. 날쇠는 이런 명대사를 남기죠. "제가 이일을 하는 건 주상 전하를 위해서가 아닙니다. 제가 원하는 것은 그저, 봄에 씨를 뿌리고 가을에 거두어 겨울에 배를 곯지 않는 것뿐입니다."날쇠는 어찌저찌해서 근왕병 주둔지에 도착합니다. 밀서를 확인한 그들은 청나라 군세에 두려움을 가진 상태였기 때문에 이상황이 난감합니다. '거부하자니 왕명이고 따르자니 질것같고' 이렇게 생각한 그들은 이명을 못받은 것으로 하는것이 좋다고 여겨 날쇠를 죽이려합니다. 그러나 눈치 백단인 날쇠는 도망치는 데 성공합니다. 하지만 남한산성은 이제 최후의 수단마저 없어진 셈이었죠. 결국 청군은 화포를 쏘며 총공격을 하고 인조는 굴욕적으로 항복합니다. 삼보구고두레(세발가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림)를 겪게 되고 김상헌은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됩니다. '삼전도의 굴욕'으로 병자호란은 막을 내리고 날쇠가 일상을 되찾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영화는 끝이 납니다.
감독, 출연배우
황동혁 감독이 맡았고 이병헌(최명길 역), 김윤석(김상헌 역), 박해일(인조 역), 고수(서날쇠 역), 박희순(이시백 역), 송영창(김류 역), 조우진(정명수 역), 이다윗(칠복 역), 허성태(용골대 역), 김법래(청 태종 역), 조아인(나루 역), 진선규(초관 이두갑 역), 유순웅(대제학 역) 배우님 등
여기에 연관된 이야기
인조가 남한산성에 머무를 때 마지막 남은 닭으로 백숙을 먹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곳에 백숙 거리가 있고 그 음식이 유명하다고 합니다.
댓글